반응형
24절기는 한국 전통 달력에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준으로, 태양의 위치에 따라 한 해를 24개의 구간으로 나눈 것입니다. 각 절기는 농사, 생활,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, 다음과 같은 날짜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봄
- 입춘 (立春)
- 날짜: 2월 4일경
- 뜻: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.
- 우수 (雨水)
- 날짜: 2월 19일경
- 뜻: 눈이 녹고 비가 내리기 시작함.
- 경칩 (驚蟄)
- 날짜: 3월 6일경
- 뜻: 겨울잠 자던 벌레가 깨어남.
- 춘분 (春分)
- 날짜: 3월 21일경
- 뜻: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.
- 청명 (淸明)
- 날짜: 4월 5일경
- 뜻: 날씨가 맑고 밝아짐.
- 곡우 (穀雨)
- 날짜: 4월 20일경
- 뜻: 곡식을 기르는 비가 내림.
여름
- 입하 (立夏)
- 날짜: 5월 6일경
- 뜻: 여름이 시작됨.
- 소만 (小滿)
- 날짜: 5월 21일경
- 뜻: 만물이 자라 작은 만족을 이룸.
- 망종 (芒種)
- 날짜: 6월 6일경
- 뜻: 씨를 뿌리기 좋은 시기.
- 하지 (夏至)
- 날짜: 6월 21일경
- 뜻: 낮이 가장 긴 날.
- 소서 (小暑)
- 날짜: 7월 7일경
- 뜻: 더위가 시작됨.
- 대서 (大暑)
- 날짜: 7월 23일경
- 뜻: 더위가 절정에 이름.
가을
- 입추 (立秋)
- 날짜: 8월 8일경
- 뜻: 가을이 시작됨.
- 처서 (處暑)
- 날짜: 8월 23일경
- 뜻: 더위가 물러가기 시작함.
- 백로 (白露)
- 날짜: 9월 8일경
- 뜻: 이슬이 맺히기 시작함.
- 추분 (秋分)
- 날짜: 9월 23일경
- 뜻: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.
- 한로 (寒露)
- 날짜: 10월 8일경
- 뜻: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함.
- 상강 (霜降)
- 날짜: 10월 23일경
- 뜻: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.
겨울
- 입동 (立冬)
- 날짜: 11월 8일경
- 뜻: 겨울이 시작됨.
- 소설 (小雪)
- 날짜: 11월 22일경
- 뜻: 첫눈이 내리는 시기.
- 대설 (大雪)
- 날짜: 12월 7일경
- 뜻: 많은 눈이 내림.
- 동지 (冬至)
- 날짜: 12월 22일경
- 뜻: 밤이 가장 긴 날.
- 소한 (小寒)
- 날짜: 1월 6일경
- 뜻: 추위가 시작됨.
- 대한 (大寒)
- 날짜: 1월 20일경
- 뜻: 추위가 절정에 달함.
참고
날짜는 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음력을 기준으로 보정됩니다. 이 절기는 농업 활동과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
반응형